날씨는 춥고 물가는 오르고 가스 요금도 올랐는데 전기 요금도 이번 달부터 인상한다고 합니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전쟁으로 세계적인 에너지 위기를 맞고 있고 미국, 유럽, 일본도 전체적으로 에너지 요금이 인상되고 있습니다. 당장 1월 전기 요금부터 9.5% 인상이 됩니다. 그럼 전기 요금이 인상되는 이유와 절약 방법에 대해 알아볼까요?
전기 요금 인상 이유
세계적인 에너지 자원의 공급 단가가 인상되었고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상승을 국내 전기 요금에 반영하지 못해 한전은 작년 6조 원에 이어 올 해는 30조 원에 달하는 적자가 예상되고 있습니다. 한국전력은 이러한 손실을 회사채를 발행하여 위기를 넘겨가고 있습니다.
하지만 작년 결산이 반영된 올해 3월 이후에는 회사채 발행액이 자본금과 적립금을 합한 금액의 2배를 넘지 못하도록 제한한 한국전력공사법에 따라 앞서 행했던 자금 조달 방법도 막히게 됩니다. 그렇다면 한전의 위기를 극복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전기 요금 인상뿐입니다.
2023년 전기 요금 인상률은 9.5%입니다. 그럼 킬로와트시(kwh)당 13.1원이 오르는 것으로, 4인 가구의 경우 전기 요금이 4570원가량 오르게 됩니다. 이는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 사이에 터진 제2차 오일쇼크 이후 최대 인상입니다.
하지만 여기서 끝이 아닙니다. 이번 인상으로 한전은 7조원의 수익을 예상하지만 적자를 감당할 만큼의 금액에는 전혀 미치지 못합니다. 그러니 2,3,4분기 인상도 자연스럽게 이루어질 거라는 전망입니다. 무엇보다 여름이 다가오면 에어컨 사용으로 전력 사용량이 급증할 예정인데 저도 참 걱정스럽습니다.
절약 방법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전기 요금 인상은 세계적 추세이고 한국은 더더욱 가파른 인상이 예상됩니다. 그렇다면 우리가 전기 요금을 덜 낼 수 있는 방법은 절약뿐입니다. 사실 절약 방법은 많이들 들어 보셔서 알고 계시겠지만 실천하기란 쉽지 않습니다.
우선 사용하지 않는 코드는 빼시는 습관을 들이시면 좋습니다. 하나 둘씩 모여 많은 전기 소비가 일어나니까요. 그리고 에너지 효율이 좋은 가전제품을 사용하셔야 합니다. 장기적으로 보았을 때 에너지 효율 등급이 낮은 제품을 사용하고 계시다면 하나씩 바꿔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요즘 같은 겨울에는 낮동안 커튼이나 블라인드를 걷고 햇빛이 들어오도록 합니다. 그리고 사용하시는 전등이 백열등이라면 LED로 바꾸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LED가 백열등보다 가격이 조금 더 비싸지만 에너지 효율은 훨씬 좋습니다.
세탁기나 건조기, 식기 세척기는 빨랫감이나 그릇들을 모아 두셨다가 한 번에 사용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두 번 사용할 전기 소비를 한 번으로 줄이는 효과적인 방법입니다. 그리고 냉장고의 음식은 가득 채우시지 마시고 적당량만 채우도록 합니다. 내용물이 많을수록 적정 온도를 유지하기 위해 그만큼 많은 전기 소비가 발생합니다.
알고 있어도 쉽지 않은 것이 에너지 절약입니다. 만일 늘 그래왔던 것처럼 전기 소비를 하신다면 전기 요금은 더 많은 금액을 요구할 것입니다. 습관을 바꾸는 것은 시간이 걸리지만 이번 달 전기 요금 고지서를 보고 곧 다가올 여름이 두려워 조금씩이나마 실천해 보려 합니다.
댓글